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면 많은 분들이 놓치기 쉬운 공제 항목 중 하나가 바로 월세 세액공제입니다. 무주택 근로자라면 꽤 큰 절세 효과를 볼 수 있는 제도인데요, 이 글에서는 월세 세액공제 대상자, 조건, 혜택, 준비서류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.
월세 세액공제란?
무주택 근로자가 국민주택 규모 이하 또는 기준시가 4억 원 이하의 주택에 월세로 거주할 경우, 월세 지출액의 일부를 세금에서 직접 공제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.
공제 대상자 요건
- 총급여 8,000만 원 이하 (종합소득금액 7,000만 원 이하) 근로자
- 무주택 세대의 세대주 또는 세대원 (단, 세대주가 주택 관련 공제를 받지 않은 경우)
- 본인 또는 기본공제 대상자 명의로 임대차 계약, 전입신고 완료 및 주민등록등본상 주소 일치
공제 대상 주택 요건
- 국민주택 규모(전용면적 85㎡ 이하) 또는 기준시가 4억 원 이하 주택
- 주거용 오피스텔, 고시원도 포함
- 임대차계약서 주소지 = 주민등록등본 주소지 일치 필요
세액공제 혜택
- 총급여 5,500만 원 이하일 경우: 월세액의 17% 세액공제
- 총급여 5,500만 원 초과 ~ 8,000만 원 이하: 월세액의 15% 세액공제
- 공제 한도: 연 1,000만 원 한도 내에서 공제 가능
필요 서류 및 제출 방법
연말정산 시 회사에 아래 서류를 제출해야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
- 주민등록등본
- 임대차계약서 사본
- 월세 지출 증빙 서류 (계좌이체 영수증, 무통장입금증 등)
마무리 팁
월세 세액공제는 단순히 "월세 낸다"는 이유만으로 받을 수 있는 게 아니라, 주소지 일치, 소득 요건 충족, 서류 준비까지 꼼꼼히 체크해야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요건에 해당된다면 절대 놓치지 마세요!
반응형